


빛은 모든 와인에 나쁘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 두거나 적어도 직사광선을 쬐지 않는 곳에 두어야 한다.
그러므로 상점이나 수퍼마켓 선반 앞에 오랫동안 진열되어 직접 빛을 쬔 것은 와인의 참맛을 내지 못한다.
와인을 보관하는 이상적인 온도는 15~17℃로, 일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진동이 없고 습하지 않은 곳에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. 그렇지만 보존 상태를 잘 유지하여 움직이지 않고 놓아둔다고 몇 년이라도 좋은 것은 아니다. 여름이 문제인데 높은 기온으로 여름을 지내면 섬세한 화이트 와인이나 라이트한 레드 와인은 품질이 떨어져버린다.
시판되고 있는 와인은 공장에서 병 숙성을 마친 후 출하되는 것이므로 구입 후 오래 보관하기보다는 바로 마시는 것이 좋다.

코르크 마개를 한 와인은 장기간 보관 시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. 이는 코르크 마개를 적신 상태로 두기 위함이다. 그래야 코르크가 마르지 않고 촉촉히 젖어 외부의 공기가 병 속에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. 세워 두어서 코르크가 건조해지면, 그 미세한 구멍으로 공기가 자꾸 출입하게 되고, 공기에 닿은 와인은 점점 산화하여 품질이 떨어져버린다. 그러므로 가능한 한 공기를 차단하기 위해 병을 눕혀 보관하는 것이 좋다.


코르크마개는 코르크 참나무의 외피로 만든 것으로 가볍고 깨끗하며, 밀폐성이 있고 재질이 부드러워 병구에 고정이 잘 되며, 온도 변화에 거의 변하지 않아 쉽게 부패하지 않는 점과 특히 신축성이 뛰어나 압축해서 병구에 넣기 쉽고 병구에 들어간 후 곧바로 팽창하여 병구와 밀착하므로 이상적인 와인 병마개라 할 수 있으며, 오래 전부터 병마개로 애용되고 있다.

와인을 사서 마시다가 한 병을 다 비우지 못하고 병에 와인을 얼마간 남겨둘 때가 많이 있을 것이다. 아마 이때 얼마 동안 두고 마셔도 괜찮을까? 하고 궁금하게 생각한 적인 있을 것이다. 또 마시다가 둔 와인을 한참 지난 후에 다시 마셔보니 와인이 변질되어 마실 수 없는 술이 되어 버린 것을 경험한 일도 있을 것이다. 그래서 혹자는 와인은 한 병을 따서 다 마셔버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하기도 한다.
아쉽지만 맞는 말이다. 와인을 마시다가 한 병을 다 마시지 못한 경우 와인 병의 윗부분에는 공기로 채워지게 된다. 이런 경우 코르크를 다시 막고 냉장고 속에 눕혀서 보관하더라도 병 안의 산소가 와인을 급격하게 산화시켜서 와인의 맛이 변할 뿐만 아니라 오래 두면 결국 식초가 되어 버린다. 그러므로 2~3일 안에 나머지를 마저 마시는 것이 좋다.
아니라면 남은 와인을 요리에 조금씩 사용해 요리의 맛을 살려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.

그러면 고가이고 아까운 와인을 다 마시지 못하고 남았을 경우 속수무책으로 버릴 수 밖에 없는 것인가? 물론 그럴 수는 없는 일이다.
발포성이 있는 스파클링 와인은 마시다 남기면 김이 빠져서 쓸 수 없지만, 보통의 테이블 와인은 잘 보관하면 약간의 맛은 떨어지지만 며칠간은 맛이 유지된다.
그러나 반갑게도 한 병을 다 마시지 못하더라도 상당한 기간 동안 맛을 유지시켜 주는 기구가 개발되었다. 베큠세이버(Vacuum Saver)라는 기구로 병속의 공기를 뽑아내어 진공 상태로 만들어주어 이것을 사용할 경우 1주일 이상 두고 마실 수 있다.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병을 눕힐 필요가 없으므로 세워서 보관하면 된다. 이 기구는 진공시키는 펌프와 특수 재질로 만들어진 마개로 되어 있다.